일상 속 문서나 표에서 자주 만나는 ‘비고(備考)’란 과연 어떤 뜻을 가지고 있을까요? 비고의 정확한 의미, 한자 어원, 쓰임새, 관련 단어까지 모두 쉽고 재밌게 풀어보았습니다. 이 글을 통해 ‘비고’란 단어의 깊은 의미를 이해하고, 서류 작성이나 해석에 실수를 줄일 수 있는 팁까지 함께 배워보세요!
비고(備考)란 무엇인가요?
‘비고(備考)’는 문서나 표에서 ‘보충 설명’이 필요한 부분에 적는 정보를 말합니다. 쉽게 말해, 본문 내용만으로는 설명이 부족하거나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사항을 적는 공간이죠.
예를 들어,
- 학교 생활기록부에서 “출결 상황: 비고란에 질병결석 사유 기입”
- 상품 견적서에서 “배송비 별도” 등의 조건을 비고에 작성
- 인사서류에서 “비고: 육아휴직 중, 복직 예정” 등
이처럼 비고는 문서의 본문 내용만으로는 전달되지 않는 추가 정보를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한자 어원으로 보는 비고
비고(備考)는 다음과 같은 한자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備(갖출 비): 준비하다, 마련하다
- 考(생각할 고): 생각하다, 고찰하다
즉, **‘미리 생각하여 참고할 것을 준비한다’**는 의미에서 유래한 단어입니다. 문서상 중요한 정보 외에도 ‘참고용’으로 준비해두는 보충 설명이라는 본래 의미가 그대로 녹아 있죠.
비고의 쓰임새와 실제 예시
비고란은 주로 표의 마지막 열이나 문서 하단에 위치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학교생활기록부, 기업 인사 공문, 상품 견적서, 은행이나 보험 서류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학교 생활기록부
과목별 성적 외에 ‘출결’, ‘특별활동’, ‘수상 경력’ 등 정규 항목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내용을 비고란에 작성합니다.
예시: “비고: 전국 영어 말하기 대회 대상 수상”
회사 업무 문서
사내 보고서, 공문서, 견적서 등에서 특이사항, 참고사항, 조건 등을 정리합니다.
예시: “비고: 계약금 입금 완료, 잔금 8월 10일까지 예정”
상품 판매·거래 문서
수량, 단가 등 수치 이외에 상품 상태나 요청사항을 명시
예시: “비고: 사이즈 맞춤 요청, 박스 손상 주의 필요”
행정·공공 서류
주민센터 신청서, 보육 신청서, 건강검진표 등 행정 문서에서도 ‘비고’란은 필수입니다.
예시: “비고: 조부모 양육 중, 보호자 연락처 변경됨”
비고는 단순한 덧붙임이 아니라, 의사소통을 명확하게 하고 오해를 줄이기 위한 핵심 정보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비고와 비슷한 단어들
‘비고’는 문서 속에서 다양한 표현과 함께 사용되며, 영어로도 여러 단어와 대응됩니다.
관련된 단어
| 단어 | 설명 |
| 주석(註釋) | 본문의 뜻을 보충하거나 해석하기 위한 설명 |
| 참고(參考) |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보조 정보 |
| 메모(Memo) | 짧고 간단한 기록이나 메모사항 |
| 특이사항 | 표준 항목에서 벗어난 특별한 조건이나 상황 |
| Remark | 영어로 비고란에 흔히 쓰이는 표현 |
| Comment | 의견이나 설명, 주석 등의 의미 |
| Notes | 중요한 참고 사항이나 요점 정리에 사용됨 |
각 단어는 비슷한 목적(보충 설명, 참고 정보 전달)을 가지고 있지만, 공식 문서에서는 ‘비고’ 또는 ‘Remark’가 가장 많이 쓰입니다.
마무리 TIP: 비고란 잘 쓰는 법
비고란을 작성할 때는 다음과 같은 팁을 기억해두면 실수 없이 깔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짧고 명확하게 작성하세요.
→ 비고는 설명 보충용이지, 긴 문단을 적는 공간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짧고 한 문장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중복 피하기
→ 이미 본문에 언급된 내용은 반복하지 않고 생략해도 무방합니다.
공란 처리도 중요
→ 아무 내용이 없을 경우 ‘해당 없음’, ‘-’ 등으로 표기하여 실수나 오해 방지할 수 있습니다.
문서 목적에 맞게 작성
→ 예: 견적서엔 ‘배송일정’, 생활기록부엔 ‘상벌사항’ 등 상황에 맞게 비고란을 채우세요.
공식 서류는 기관 가이드 따르기
→ 특히 학교, 회사, 정부 양식은 규칙이 있으니 사전 확인이 필수입니다. 해당 규율을 확인해 다시 수정하는 일을 피합니다.
자주하는 질문 Q&A
Q1. 표나 문서의 비고(備考, Remarks)란에 N/A를 왜 적는건가요?
F1. N/A는 해당없음을 뜻하며 Not Applicable의 줄임말입니다.
- 추가적으로 설명할 내용이나 참고할 내용이 없을 때, 아무것도 적지 않는 것보다는 해당없다는 내용을 적는게 좋겟죠.
- 왜냐하면 그냥 놔두면 모르고 그냥 놔둔건지, 쓸 내용이 없는건지 헷갈리 수 있으니깐 명확하게 해당없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Q2. 비고 영어로 하면 무슨 뜻인가요?
F1. 비고는 영어로 Remarks 또는 Notes라고 합니다.
- 문서나 표에서는 Remarks를 사용하고 메모나 공식적이지 않을 때는 Notes라고 합니다. 예를들어 Refer to the notes는 비고를 참고하세요 라는 뜻이죠.
- 비고대신 참고를 대신 사용하기도합니다. 참고는 영어로 reference입니다.
Q3. 비고 영어로 하면 무슨 뜻인가요?
F3. 비고는 한자는 갖출 비, 생각할 고입니다.
비고 는 한자어로 갖추다 ‘비’에 생각하다 ‘고’자가 결합된 단어입니다. 뜻으로 풀이하면 참고할 만한 것을 갖추어둔다라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결론
비고(備考)는 단순히 덧붙이는 설명이 아닌, 문서의 완성도를 높이고 맥락을 명확히 전달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한자어의 깊은 의미에서부터 일상적인 활용 예시, 관련 표현까지 이해해두면 앞으로의 서류 작업에서 훨씬 더 정확하고 깔끔한 표현이 가능해질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