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처: 나무위키)
윤리적 딜레마는 우리가 매일 마주할 수 있는, 어떤 선택이 옳은가?를 고민하게 만드는 복잡한 상황과 현실입니다. 단순한 문제가 아니라, 가치와 원칙이 충돌해 어느 쪽을 택해도 쉽지 않은 결정이 필요한 문제를 말하죠. 이번 글에서는 윤리적 딜레마의 어원부터 뜻, 관련 단어, 비슷한 개념과 실제 사례까지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
윤리적 딜레마란? — 어원과 기본 뜻
‘딜레마(dilemma)’라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는데,
‘디(di)’는 ‘두 개’,
‘레마(lemma)’는 ‘주장’ 또는 ‘명제’를 뜻합니다.
즉 ‘두 가지 주장’이라는 뜻으로, 선택해야 할 두 가지 서로 다른 주장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 단어가 철학과 윤리학에서 발전하며 ‘두 가지 선택지 사이에서 어느 쪽을 택해도 문제가 되는 상황’을 뜻하게 되었죠.
윤리적 딜레마는 ‘도덕적 원칙이나 가치가 충돌하여 어느 쪽을 선택해도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상황’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정직과 배려, 개인의 자유와 사회적 책임 등이 서로 충돌할 때,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고민하는 상황이 이에 해당합니다.
윤리적 딜레마의 특징과 관련 단어
딜레마는 두가지 혹은 그 이상의 선택지 중에서 본인의 가치관에 다라 의사결정과 선택을 내려야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두가지 모두 선택할 수 없고 상호 상반되는 대안을 가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특정된 하나를 선택하면 반드시 포기하는 선택지에 대해서는 불이익이 따라옵니다.
윤리적 딜레마 주요 특징
상충하는 가치: 서로 다른 윤리적 가치나 원칙이 충돌합니다.
예: 개인의 자유 vs. 공동체의 안전, 정직 vs. 비밀 유지 등
명확한 해답 없음: 어느 쪽을 택해도 ‘완벽히 옳다’고 할 수 없습니다.
심리적 부담: 선택의 결과가 불확실하고, 잘못된 판단에 대한 책임감이 큽니다.
윤리적 딜레마 관련 단어
- 도덕적 갈등(Moral conflict): 윤리적 딜레마와 비슷한 개념으로, 도덕적 원칙 간의 충돌을 의미합니다.
- 윤리적 문제(Ethical issue): 윤리와 관련된 문제 상황 전체를 아우르는 넓은 의미입니다.
- 트롤리 딜레마(Trolley dilemma): 윤리적 딜레마의 대표적인 사례로, ‘어떤 다수를 살리고 어떤 한 명을 희생할 것인가’의 선택을 묻는 사고 실험입니다.
- 공리주의(Utilitarianism): 결과의 최대 행복을 중요시하는 윤리 이론으로, 딜레마 해결에 자주 쓰입니다.
- 의무론(Deontology): 의무와 규칙을 중시하는 윤리 이론으로, 행동의 옳고 그름을 따지는 데 집중합니다.
트롤리 딜레마(Trolley Dilemma)
당신 앞에 제어 불가능한 트롤리, 즉 무인전차가 오고있으며 앞으로 계속 가면 다섯명이 죽습니다. 트롤리는 방향을 틀면 반대편의 한사람이 죽습니다. 이것이 트롤리 딜레마이며 윤리적 딜레마를 다루고 있습니다. 흥미롭게도 많은 사람들이 지겁 개입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왜냐하면 직접적인 죄책감을 덜고 자연적인 결과를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신의 선택으로 누군가 죽게되거나 나쁜 영향을 받게된다면 정신적으로 감당하기 힘들테니깐요. 이것은 인간이 도덕적 판단을 할때, 감정과 이성사이에서의 충돌을 겪는다는것을 보여줍니다. 결국 정답은 없습니다. 내 도덕적 기준이 무엇인지, 감정과 논리 중에 무엇을 우선적으로 하는지가 더 중요하죠.
비슷한 단어들
- 딜레마(Dilemma): 윤리적 딜레마뿐 아니라 ‘어려운 선택 상황’ 전반을 의미합니다.
- 모순(Paradox): 겉으로 보기에 서로 맞지 않는 상황이나 주장.
- 갈등(Conflict): 충돌이나 대립 상황을 뜻하지만 윤리적 요소는 필수 아님.
- 선택의 어려움(Quandary): 결정하기 힘든 상황을 뜻합니다.
관련된 사자성어
- 진퇴양난 : 모두 어려움이 존재하는 것으로 앞으로 가나 뒤로가나 어려움을 겼는다는 뜻으로 예를들어 일을 계속하면 스트레스 때문에 건강이 안좋을 것 같고, 당장 그만두면 수입이 없어 생활고에 시달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죠.
- 죄수의 딜레마 : 두명의 죄수를 각각 심문해 자백을 할것인지 침묵을 할것인지 묻습니다. 둘다 침묵하면 증거 불충분으로 둘다 짧은 형을 하는 것이며 가장 좋은 선택지입니다. 하지만 둘중 한명이 배신하면 한명은 면죄, 침묵한 사람은 긴 형을 받죠. 둘다 자백하면 둘다 중간 정도의 형을 받습니다. 결국 서로 저격하는 범죄자들이 될 것이겠죠.
- 소피의 딜레마 : 소설에서 나온 이야기로 나치 간부에게 끔찍한 선택을 강요받아 두 아이 중 한명만 살려줄 수 있다는 제안을 받습니다. 둘다 살리기는 불가능이죠.
윤리적 딜레마의 실제 사례와 해결 방법
실제 사례
병원의 의료 윤리: 환자의 자율성과 생명 보호 사이의 충돌
예를 들어, 환자가 치료를 거부할 권리가 있지만, 의료진은 생명을 살려야 하는 의무가 있습니다.
기업 경영에서의 윤리: 이익 극대화와 환경 보호 사이
기업이 더 많은 이익을 위해 환경 규제를 완화할 경우, 사회적 책임과 기업 이익 간 딜레마가 발생합니다.
개인적 윤리: 친구와 진실 사이
친구의 잘못을 알면서도 말할지, 아니면 비밀을 지킬지 고민하는 상황입니다.
해결 방법
- 상황 분석: 딜레마의 원인과 관련 가치, 이해관계를 명확히 파악합니다.
- 우선순위 설정: 장기적 영향과 전체적인 이익을 고려해 가장 윤리적인 선택을 고민합니다.
- 윤리 이론 적용: 공리주의, 의무론, 덕 윤리 등 다양한 윤리학 모델을 참고해 판단합니다.
- 전문가와 협의: 윤리위원회나 슈퍼비전, 전문가 의견을 구해 다각도로 검토합니다.
- 지속적 성찰과 학습: 결정 후에도 결과를 되돌아보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마무리
윤리적 딜레마는 단순히 ‘옳고 그름’을 고르는 문제가 아니라, 복잡한 가치와 원칙 사이에서 균형을 찾는 과정입니다. 우리 모두 일상에서 작게나마 마주하는 문제이며, 이를 통해 자신의 가치관과 사회적 책임을 깊이 성찰하는 기회가 되기도 합니다. 윤리적 딜레마를 이해하고 잘 해결하는 능력은 개인뿐 아니라 조직과 사회의 건강한 발전에도 꼭 필요한 덕목입니다.